본문 바로가기
교육

감정 조절 어려운 아이, 부모의 현명한 대처법 6가지 – 초등 정서 지도 가이드

by 반짝이는 날들 2025. 9. 16.

“화를 내다가 갑자기 울어요.” “조금만 말해도 짜증을 내고 방문을 꽝 닫아요.”

초등학생 시기는 정서 발달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시기입니다. 아직 자신의 감정을 완전히 인식하거나 통제하기 어려운 상태이기 때문에, 부모의 대처 방식이 아이의 감정 표현 방식에 큰 영향을 줍니다.

이 글에서는 감정 조절이 어려운 아이를 둔 부모를 위해 현실적이고 효과적인 대처법 6가지를 안내합니다.

 

감정 조절 어려운 아이, 부모의 현명한 대처법 6가지 – 초등 정서 지도 가이드

 

1. 감정보다 ‘행동’을 다스린다

  • 아이는 감정을 표현하는 방식이 미숙할 뿐입니다.
  • “화내지 마” 대신 “화는 나도 물건을 던지면 안 돼”와 같이 행동을 교정합니다.
  • ✔️ 실천 팁: 감정은 수용하되, 행동은 경계 설정

2. 감정을 ‘언어’로 표현하도록 돕는다

  • 말로 감정을 표현할 수 있게 되면 폭발적 행동이 줄어듭니다.
  • ✔️ 실천 팁: “지금 어떤 기분이야? 화남, 속상함, 짜증 중 골라볼까?”
  • 감정 카드, 감정 일기 활용 추천

3. 감정이 폭발했을 땐 즉시 반응하지 않는다

  • 폭발 중일 때는 논리적 설명, 훈육 효과 없음
  • ✔️ 실천 팁: “엄마는 여기 있어. 네가 진정되면 이야기하자.”
  • 시간과 공간을 분리해 감정을 가라앉힐 기회를 주세요.

4. 감정 정리가 끝난 후 대화한다

  • 진정 후에는 감정 + 행동 모두 되짚어 보기
  • ✔️ 실천 팁: “그때 왜 그런 기분이 들었는지 같이 생각해 볼까?”
  • 이해 → 공감 → 행동 조절 순으로 대화 구성

5. 평소 감정 표현 연습 기회를 만든다

  • 화날 때만 감정을 이야기하는 것은 늦습니다.
  • ✔️ 실천 팁: “오늘 기뻤던 일 한 가지 말해줘” 같은 일상 감정 대화 시도
  • 감정 단어 익히기 활동, 표정 따라 그리기 등 활용

6. 부모가 ‘감정 조절 본보기’가 되어야 한다

  • 부모의 반응이 아이에게는 ‘감정 표현의 교과서’
  • ✔️ 실천 팁: “지금 엄마도 화가 나지만, 크게 소리 내지 않고 말할게”
  • 감정을 조절하는 모습을 자주 보여주세요

보너스: 절대 피해야 할 반응 3가지

  • ❌ “그 정도로 울 일이야?” (감정 무시)
  • ❌ “또 시작이네.” (패턴 낙인)
  • ❌ “말 안 하면 안 사줘.” (감정 통제 → 행동 강화 실수)

결론

감정 조절은 학습 가능한 능력입니다. 단기간에 바뀌지는 않지만, 꾸준히 감정을 알아차리고, 표현하고, 조절하는 연습을 하면 충분히 향상될 수 있습니다.

부모는 아이의 감정을 억누르기보다, 안전하게 표현하고 회복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주는 역할을 해야 합니다.

오늘 아이가 감정 표현을 할 때, 단 한 번이라도 “지금 어떤 기분이 드는지 말해줄 수 있어?”라고 물어보세요. 그것이 아이의 정서 성장의 시작이 될 수 있습니다.